본문 바로가기
승계정보,자동차정보/중고차,신차정보

위험천만 급발진

by 참조은승계 2021. 12. 1.

 

  자동차는 현대 사회에서 편한 이동수단이지만, 도로에서는 내 차량 이외에 수많은 차량들이 같이 달리고 있는 만큼 교통흐름과 각종 신호체계, 제한속도에 맞춰 운행을 해야 합니다. 넓은 도로에서는 평소보다 달리기에 가속페달을 더 밟는 경우도 있고, 상대적으로 좁은 도로에서는 속도를 줄여야 합니다.

  가끔 뉴스에 자동차 관련 소식을 접하면 가속페달을 밟고 있지 않는데, 차량이 급가속을 해서 큰 사고를 당하게 되거나 상대방에게 피해를 끼치는 안타까운 소식을 듣게 됩니다. 차주의 불찰이 아닌 자동차의 '급발진' 문제가 의심이 된다고 하지만 국내 제조사에서는 급발진 사고를 인정하는 사례는 없다고 하네요.

 

* 급발진의 원인은 도대체 무엇일까?

 

  자동차 급발진이란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차량이 급가속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엑셀 페달을 밟지 않았지만 엑셀을 최대치까지 밟은 것처럼 RPM이 끝까지 상승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볼 수 없는 엄청난 토크가 발생해 굉음과 엄청난 출력이 나타나게 되는 셈이죠.

 

또, 평소 부드럽게 작동하던 차량의 브레이크마저 딱딱해져 왠만한 성인남성의 힘으로도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못하게 되기도 합니다. 원인에 대한 세부조사나 정부의 전문 기관에서 명확히 밝혀주면 좋지만 보상에 따른 기업이 손해가 엄청나기 때문에 사실상 민간의 일부 영역에서만 원인 규명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원인 첫 번째, 브레이크 진공배력장치

 

2013년 한 대학교수가 주도한 연구회에서 급발진의 원인 중 하나는 진공배력장치라고 지목하였습니다. 진공배력장치는 브레이크를 밟는 힘을 강화하기 위해 대기압보다 낮은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흡기다기관, 엔진의 흡기통로) 압력을 이용하는 장치로 알수 없는 계기로 인해 흡기매니폴드가 진공이 되면 스로틀밸브(엔진 공기조절밸브)가 완전히 개방되면서 급발진이 일어난다 주장했습니다. 스로틀밸브 완전 개방으로 흡기매니폴드 압력이 높아지니 시동이 꺼졌을 때처럼 브레이크 페달은 딱딱해지기 때문입니다.

 

★ 원인 두 번째, ECU 및 센서 불량

 

1999년 오토차량의 급발진 원인을 세계 최초로 밝혀낸 것으로도 유명하며 실제 급발진 재현에도 수차례 성공한 바 있는 박명일 명장이 주장한 급발진 원인은 자동차 ECU의 기능 한계 또는 순간 기능 상실입니다. 센서 불량이나 센서들이 전달하는 신호를 ECU가 제대로 판단하지 못한다거나 ECU 자체가 여러원인으로 먹통이 될 때 급발진이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개선된 ECU로 교체하는 것이 가장 좋은 해법이지만 국산 자동차 제조사는 ECU 생산, 개발 능력이 떨어져 외주를 주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그 대안으로 급발진 발생 제한 장치가 제시되었습니다.

 

 

 

* 급발진을 예방할 수 있는 좋은 습관은 ?

 

 

★ ECU 오작동을 줄이는 행동 : 시동은 두 번에 나눠서

 

핸드폰과 컴퓨터의 전원, 부팅될 때까지 시간이 필요한 것처럼 자동차도 똑같습니다. 시동을 걸 때 전원을 먼저 공급하고 계기판에 각종 경고등이 꺼진 다음 브레이크를 밟고 시동을 걸어야 합니다. 시동을 걸자마자 출발해서도 곤란합니다. RPM이 800 정도 이하로 안정적이 되었을 때 서서히 출발하는게 좋습니다. 시동을 끌 때도 컴퓨터를 끌 때 모든 창을 닫고 전원을 내려야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변속기 레버를 P에 두고 시동을 꺼야 합니다. 다른 기어에 놓고 시동을 끄게 되면 자체에 장치되어 있는 컴퓨터 시스템이 종료되지 않아 오작동을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시동을 끈 뒤 전원 OFF는 시동을 걸때만큼 기다렸다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주행 중 급발진이 발생했을 때의 대처

 

급발진이 발생하면 엄청난 속도로 차량이 튀어 나가기 때문에 속도를 최대한 줄이고 차량이 더 나아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일 먼저 급발진 발생시 브레이크가 딱딱해지긴 하지만, 체중을 최대한 실어 두 발로 밟아주어야 합니다. 이 방법도 소용이 없다면 주차브레이크(사이드브레이크)를 활용해 차량의 속도 상승을 최대한 막는 노력을 해야하며, 버튼식(전자식)파킹 브레이크라면 길게 눌러주거나 지속적으로 당겨줍니다. 그 후, 자동차 기어를 N(중립)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P가 아닌 N으로 해야하는 이유는 주차 기어 상태로 스티어링휠을 돌리게 되면, 핸들락이 걸려 조향을 할 수 없어 더 위험한 상황이 초래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가능하다면 빠르게 시동을 꺼서(스마트키 작동 방식은 길게 3초이상/ 3-5번 연속) 전원만 들어오는 상태로 만들어주며 브레이크를 통해 속도는 지속적으로 줄여주어야 합니다.

 

브레이크 > 기어 중립(N) > 시동OFF(ACC ON) > 비상등/경적(주위알림) > 갓길/가드레일 이동

 

 

 

 

누구에게라도 급발진 사고는 일어날 수 있습니다. 늘 안전운전 하시기 바라며

이상 급발진 이상증세에 관해 말씀 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참조은승계 | 최영기 | 서울 도봉구 도봉로 180길 17(도봉동) 르노 도봉 사업소 전시장2층 | 사업자 등록번호 : 210-21-86425 | TEL : 010-7325-5452 | Mail : jy119988@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