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예전정보/(예전차량)자동차 정보,견적서

자동차 용어 - 자동차 제원 편

by 참조은승계 2015. 7. 3.


자동차 용어 - 자동차 제원 편

 

 


자동차 제원이란 자동차의 치수나 무게 등 성능과 특성을 나타낸 수적 지표를 말하는데요
자동차의 어떤 부분을 수적 지표로 나타내고 있는지 자세히 알아볼까요?

 


* 자동차 제원의 기초! 자동차 수치를 나타내는 용어는?

 

 

 

 

최저지상고(Ground Clearance) :

공차 상태에서 타이어, 휠, 브레이크 부분을 제외한 차량 중앙 부분의 가장 낮은 부분과 접지면 사이의 거리를 의미
운간거리(Track/Tread) : 앞바퀴 윤거는 앞바퀴 좌우 타이어 접지면의 중심선 사이 거리를, 뒷바퀴 윤거는 뒷바퀴

좌우 타이어 접지면의 중심선 사이 거리를 의미

축간거리(Motor Vehicle Space/Wheel Base) : 축거는 앞자축(앞바퀴) 중심부와 뒷차축(뒷바퀴) 중심부 사이

의 거리. 즉 자축 중심 간의 거리를 의미
전장 : 자동차의 맨 부분에서 가장 뒷부분까지의 길이, 즉 앞 범퍼에서 뒤 범퍼까지의 길이
전폭 : 사이드미러를 제외한 상태에서의 차량 너비가 가장 넓은 폭
전고 : 공차 상태에서의 지면과 맞닿은 타이어 하부에서부터 자동차의 가장 놓은 지붕가지의 높이

승차정원(Riding Capacity) : 자동차 등록증에 명시된 승차할 수 있는 인원
법으로 보는 승차정원 : 승용 자동차의 경우 승차정원의 11할 이내이며, 고속버스나 화물차의 경우 승차정원을 넘어서

운행할 수 없습니다. 어린이를 태울 경우에는 어른과 같이 승차정원 1명으로 보며, 5세 이하의 경우에는 인원 수로 치지는

않으나 카시트 등 유아보호장비를 착용해야 합니다. 또한, 택시의 경우 승차정원을 5명으로 하며 이를 어길 시 벌금을 물

수도 있습니다. 안전을 위해 승차정원을 준수하는 모범적인 운전자가 될 수 있도록 합시다.

 

 

 

최대 적재량(Maximum Payload)
승객 또는 화물 등을 적재할 때의 최대 가능한 중량의 의미. 차량 적재량을 낮추면, 연료 소모가 줄어들어요!
차량에 불필요한 짐이 많을수록 자동차의 무게가 무거워 연료 소모가 많이 되는데요
자동차에 불필요한 짐 10kg을 싣고 50km를 달렸을 때 무려 80CC의 연료가 더 소모된다고 해요
필요한 물건이 아니라면 트렁크에서 비워두고, 사용이 끝난 물건도 바로바로 정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연료는 절반 정도만 채워서 운행하는 것이 더 오래 쓸 수 있다고 하니, 주유할 때 참고하세요!

 

 

 


차량 공차중량(Complete Vehicle Kerb Weight)
승객, 공구, 예비부품 등은 제외된 예비 타이어, 냉각수, 연료, 윤활유 등이 모두 채워진 차량의 무게
차량은 나날이 커지지만, 무게는 점점 가벼워진다. 소비자들은 쾌적하고 넓은 차량을 원하지만 사실상 큰 차량을

만들게 되면 무게가 무거워져, 연료 효율이 좋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가벼운 소재로 만들자니 안전성이 떨어지게

되는데요, 그래서 H 자동차 회사에서는 고심 끝에 가벼우면서도 안전한 강판을 개발하게 됩니다.
새로 개발된 고장력 강판(핫스탬핑 공법으로 생산된)은 중량은 가벼우면서도 동급 차량 대비에 안전성이 뛰어나

경제적이고 안전한 큰 차량을 만드는데 효과적입니다.

 

 

 

 

차량 총중량(Gross Vehicle Weight : GVW )
공차중량과 최대적재량을 합한 걸 의미

 

 

내 차의 총중량을 계산해 볼까요?
김대리의 새 차는 공차중량이 1000kg, 65kg 승객이 4명 탈 수 있고 최대적재량은 80kg인 차량입니다.
김대리 차의 총중량은 얼마일까요? 공차중량과 최대 적재량, 그리고 사람의 무게를 모두 더하기만 하면 되는데요,

공차중량(1000g)에 70kg인 4명의 사람을 더하고, 거기에 최대적재량(+80kg)을 더하면...
1000kg + (70X4) + 80kg = 1,360kg! 김대리의 차량 총중량은 1,360kg이었네요! 여러분의 차량 총중량은 얼마인지

계산해보세요!

 


오버행(Over Hang)
오버행은 앞 범퍼에서 앞바귀 중앙까지의 거리를 의미, 리어 오버행은 뒤 범퍼에서 뒷바퀴 중앙까지의 거리를

의미. 전륜구동 자동차는 왜 오버행이 짧을까? 전륜구동차량의 경우는 차량의 앞 바퀴와 엔진, 미션을 앞쪽으로

배치하는데요. 이런 장치들의 무게가 한쪽으로 쏠려 조향장치의 효율성을 떨어뜨리지 않게 하기 위해 앞바퀴를

최대한 앞쪽으로, 엔진은 최대한 뒤쪽으로 밀어 차량의 무게를 균등하게 배분한답니다.
그래서 앞 범퍼와 앞바퀴의 거리, 즉 오버행이 짧아지는 것입니다.

 

 

 


축하중(Axle Weight)
차량의 앞뒤 쪽의 각각의 바퀴 축에 실리는 무게, 즉 각각의 4개 바퀴 축에서 접지면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말함
하중에 다른 타이어 선택하기
-최대 하중 한계 : 타이어에는 차체는 물론 적재되는 무게를 견딜 수 있는 최대 하중 한계가 표시되어있는데
만일 무거운 짐을 운반하는 차량이라면 이를 잘 따져보고 구매해야겠죠? 일반적으로 타이어에는 규정 공기압과

최대 하중 한계를 표시하고 있으니, 꼭 확인하고 구매하세요!
-하중의 위치에 따라 : 하중이 균형을 이루지 못하면 주행 중 코너링에서 언더스티어와 오버스티어가 발생할 수

있으니 하중의 균형이 평등한지 확인 후, 타이어를 선택합니다.

 

 

 

 

자동차 제원에 관련된 용어를 아셨나요? 자동차의 생김새와 무게 등 치수에 관련된 부분이었는데요
차량을 구매할 때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점점 자동차 기본상식이 쌓여가고 있었으면 좋겠는데요.
다음번에는 또 어떤 자동차 용어로 찾아올지 많이 기대해주세요~

사업자 정보 표시
참조은승계 | 최영기 | 서울 도봉구 도봉로 180길 17(도봉동) 르노 도봉 사업소 전시장2층 | 사업자 등록번호 : 210-21-86425 | TEL : 010-7325-5452 | Mail : jy119988@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